티스토리 뷰



반응형

영화 위대한쇼맨

 

《위대한 쇼맨》(2017) – 꿈, 다양성, 그리고 쇼의 본질을 노래하다

디스크립션

2017년 개봉한 영화 《위대한 쇼맨(The Greatest Showman)》은 실존 인물 P.T. 바넘의 삶을 모티브로 하여, 쇼 비즈니스의 시작과 인간의 다양성, 그리고 꿈을 향한 열정을 뮤지컬 형식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휴 잭맨의 열연과 감동적인 음악, 시각적으로 화려한 퍼포먼스가 어우러진 이 영화는 전 세계적으로 사랑을 받았으며, 단순한 볼거리를 넘어 감동과 영감을 선사한다.

현실과 환상, 차별과 수용, 실패와 도전이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관객들에게 "당신만의 빛을 찾으라"는 메시지를 강렬하게 전달하는 작품이다. 이 글에서는 《위대한 쇼맨》의 줄거리, 핵심 캐릭터, 명곡과 메시지, 그리고 대중의 반응까지 깊이 있게 소개한다.

1. 줄거리 – 보통의 남자, 위대한 무대를 꿈꾸다

P.T. 바넘(휴 잭맨)은 가난한 재단사 집안에서 태어나, 어릴 적부터 사회의 벽과 편견에 부딪치며 자랐다. 하지만 그는 항상 더 큰 세계를 꿈꿨고, 어린 시절부터 사랑했던 부잣집 딸 찰리티(미셸 윌리엄스)와 결혼해 자신의 가정을 꾸린다.

직장에서 해고된 바넘은 전혀 새로운 일을 시도한다. 그것은 바로 '사이즈가 다른 사람들, 목소리가 다른 사람들, 외모가 특이한 사람들'을 무대 위로 올리는 것이다. 그는 사회에서 배제된 사람들을 모아 서커스 쇼를 만들고, 이를 통해 대중에게 놀라움과 감동을 주는 공연을 선보인다.

초기에는 조롱과 비판을 받지만, 점차 관객들의 환호와 지지를 얻으며 바넘은 성공 가도를 달린다. 그러나 더 큰 명성과 인정을 좇기 시작하면서, 그는 점점 진짜로 소중했던 것을 잃어간다. 그 과정에서 바넘은 진정한 쇼의 의미, 가족과 동료의 가치, 그리고 스스로의 정체성을 다시 마주하게 된다.

2. 주요 인물 소개 – 쇼의 이면을 이끄는 사람들

  • P.T. 바넘 (휴 잭맨) – 야망과 상상력이 넘치는 남자. 빈곤한 유년기를 딛고, 모두가 놀랄 쇼를 만들어낸다. 하지만 명성과 자존심 사이에서 갈등하며 성장하는 복합적인 캐릭터다.
  • 찰리티 바넘 (미셸 윌리엄스) – 바넘의 아내로, 조용하지만 강한 내면을 지녔다. 남편의 꿈을 응원하면서도 가정의 소중함을 잊지 않게 하는 인물.
  • 필립 칼라일 (잭 에프론) – 상류층 극작가 출신으로, 바넘과 손을 잡고 쇼를 확장하는 데 기여한다. 흑인 공중 곡예사 앤과의 사랑을 통해 신분과 인종 차별을 직면한다.
  • 앤 휠러 (젠다야) – 공중 곡예사. 흑인이라는 이유로 차별받지만, 당당히 무대 위에 올라 자신을 드러낸다. 앤은 소외된 이들의 자존감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 레티 루츠 (키알라 세틀) – 수염 난 여성. 자신을 드러내기를 꺼리지만, 'This Is Me'를 통해 진정한 자존감을 되찾는다.

3. 음악과 메시지 – 'This Is Me'가 울려 퍼질 때

《위대한 쇼맨》의 가장 큰 매력 중 하나는 단연 음악이다. 벤지 파섹과 저스틴 폴이 만든 사운드트랙은 영화보다 더 많은 인기를 끌었고, 실제로도 빌보드 차트 상위권에 오르며 뮤지컬 영화 역사에 길이 남을 성과를 거뒀다.

그중에서도 대표곡 ‘This Is Me’는 단순한 넘버가 아니라,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겠다는 선언이다. 이 곡은 단순한 영화 삽입곡을 넘어, 전 세계 다양한 사람들에게 자존감과 용기를 불어넣었다.

‘A Million Dreams’, ‘Never Enough’, ‘Rewrite the Stars’ 등도 각각 다른 감정선을 자극하며, 영화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무대처럼 구성된다. 음악은 스토리의 감정선과 완벽히 맞물려 있으며, 단순한 배경음이 아닌 서사의 중심 그 자체로 작동한다.

4. 시각적 연출과 퍼포먼스 – 현실과 환상의 경계

비주얼 측면에서도 《위대한 쇼맨》은 뛰어나다. 현실적인 인물의 고민을 다루면서도, 무대와 공연 장면에서는 마치 환상적인 꿈속을 보는 듯한 연출이 이어진다. 오디토리움에서 펼쳐지는 공중 퍼포먼스, 마술처럼 전환되는 무대, 색채감 있는 의상과 세트는 관객의 시선을 압도한다.

연출은 화려하지만 과하지 않고, 캐릭터들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반영한다. 뮤지컬 장르가 가진 장점을 시각적으로 잘 살렸으며, 반복 관람을 유도하는 매력을 지닌다.

5. 관객 후기 및 반응

  • “단순한 뮤지컬을 넘어, 나 자신을 돌아보게 되는 영화였다.”
  • “휴 잭맨의 에너지가 대단하다. 노래, 춤, 감정 연기까지 완벽했다.”
  • “‘This Is Me’ 장면에서 눈물이 났다. 그저 ‘다름’을 인정하는 게 왜 이렇게 어려운지 생각하게 됐다.”
  • “음악만 따로 듣고 있어도 영화 장면이 그려진다. 너무 아름답다.”

실제 영화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스토리의 단순함에 대한 비판도 있었지만, 관객의 정서적 만족도와 재관람율은 매우 높았다. 특히 청소년과 2030 여성 관객층 사이에서 큰 지지를 받았다.

6. 결론 – 쇼는 계속된다, 당신의 삶에서도

《위대한 쇼맨》은 단순한 성공신화나 화려한 쇼맨십을 보여주는 영화가 아니다. 이 작품은 누구나 '무대에 설 수 있다'는 희망과, 세상의 시선에 상처받았던 이들에게 건네는 위로다.

‘보통의 삶을 살던 사람들’이 서로를 마주하고, 연대하며, 무대 위에서 스스로를 증명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영화는 이야기한다. “삶은 그 자체가 무대이며, 누구든 그 쇼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고.

그리고 쇼는 끝나지 않는다. 관객이 극장을 나선 그 순간부터, 자신만의 쇼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반응형